부동산 실거래신고제 뭘까?(실거래신고제의 개념과 주는 영향 그리고 편법) ­

#부동산실거래신고제 #실거래신고제 가 뭘까?​실거래신고제의 개념과 실거래신고제가 주는 영향!그리고 전월세 신고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안녕하세요!오늘은부동산실거래신고제라는 주제로포스팅을 준비했는데요.​​

>

부동산실거래신고제 가 뭘까?부동산실거래신고제의 정확한 명칭은”부동산 실거래 가격 신고제” 입니다.​​부동산 실거래 가격 신고제 제도가 들어선 이유는?부동산에 이중계약서 작성 등 잘못된 관행을 없애고 부동산 거래를 투명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부동산의 실제거래가격을 신고하는 제도를 말합니다.하여,매매계약을 체결한 부동산에 대하여실제 거래가격 등 거래계약 체결일부터 30일 이내 (작년까지만해도 60일) 매매 대상 부동산 소재지의 관할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공동으로 신고해야합니다.단, 쌍방이 아닌 일방이 신고를 거부할 경우에는 단독으로도 신고가 가능합니다.신고 된 부동산은 허위신고여부 등을 조사하기위해 가격검증을 거치며거래내역 및 검증결과는 국세청 시군구 세무부서에 통보하여 과세자료로 활용됩니다.​​그렇다면 신고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?부동산실거래 가격 신고제를 신고하지 않게되면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게됩니다.​부동산거래신고 편법?가족이나 지인간의 매매로 소득세를 면하기 위해 거래가를 낮게 신고하는 경우도 있는데요.보통 부동산실거래 가격 신고 편법이라고들 합니다하지만, 이러한 비정상적 신고는 국세청 소명요청 대상 1순위에 해당됩니다.​부동산거래신고제도가 들어서면 어떤 영향을 불러올까요?신고제도가 들어서면 30일까지 신고가 의무화되므로 기간이 촉박해지며 주택거래가 위축될것입니다.​​

>

부동산실거래 가격 신고제일부 개정안에 포함된 제도”전월세 신고제”란 무엇일까?전월세 신고제 또한 도입된 이유는전월세 거래가 투명하게 공개돼 세입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을 받을 수 있게 하자는 취지하에만들어진 제도입니다.또한 주택 임대차 계약을 신고하면 자동적으로 확정일자가 부여돼 확정일자를 따로 받지 않아도보증금을 보호 받을 수 있게됩니다. 전월세 신고제 같은경우에는 계약 때 임대계약 당사자 간 보증금,임대료,임대기간,계약금 등 계약사항을30일내에 시군구청에 신고해야합니다.그리고2019년 8월 26일 안호영 의원이 제도한 개정안으로임대인과 임차인이 직거래 하였다면 임대인이 해당 내용을 신고해야합니다.전월세 신고제 제도가 들어설 경우 그동안 임대소득세를 내지 않은 집주인은 전월세 내용의 공개로 세금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.단, 오피스텔 등 비주택은 신고대상에서 제외됩니다!!​현재 이슈되는전월세 실거래 신고제 급물살 탈까?전월세 실거래 금액 신고를 의무화 하는 전월세 신고제 5월 임시국회 통과될 가능성 큽니다20대 국회에서 전월세 신고제 관련 법 통과될 경우 전월세 상한제와 전월세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속도 낼것으로 예상 되구요,국토교통부 5월 임시국회 소관 상임위가 다룰 중점 법안중 하나로 전월세 신고제 도입을 뼈대로 한 부동산거래신고법 개정안이 제출 될 예정입니다.​이상 부동산실거래가격신고 제도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감사합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