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) 추진배경 ▶ 전통적 전력기자재 산업의 성장한계를 극복하여 초연결시대에 능동적 대처 ▶ 전력IoT 생태계 조성으로 센서, 정보통신기술, 빅데이터, 중전기기 융합형 신 Biz-Model 창출
>
2) 한전 추진현황 ▶ 전력IoT R&D 추진 (‘15.07 ~ ‘17.06) : 표준화, 게이트웨이 및 플랫폼 개발 ▶ IoT 활용 배전설비 자가진단을 위한 Test-Bed 구축 (‘15.10 ~ ‘17.12) : 운영모델 정립 ▶ 전력그룹사 IoT 포럼 발족 (‘15.10 ~) : 공동 중장기 전략 수립 등3) 전력IoT 전략적 생태계 조성 [해외 사례 : 독일]
>
3) 해외 사례 (독일) “IO-LINK Company Community ▶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센서와 기기간의 통신 입출력을 공동 제공하는 컨소시엄의 일종이며, 지멘스, 슈나이더 등 100여개의 회 사가 멤버로 활동중에 있음.
>
4) 위와 같이 세계적인 기업들이 Smart Power IoT Network [SPIN]에 참여하고 있는 추세에 맞춰 우리나라에서도 한국전력을 중심 으로 산업계와 전략적인 파트너쉽을 구축하려고 하고 있음.
5) 향후 한전에서는 SPIN 운영 프로세스에 관하여 설비운영부서 및 고객의 Needs를 발굴하고 해당분야 최고 개발자(기업)로 구성된 팀을 만들어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함.◐참고 문헌◑1. “NSP 통신”, “한국전력, Al 기반 배전설비 진단기술 개발과 비접촉 작업공법 도입”, (2017).2. “전기평론”, “한국전력, 전력분야 IoT 사업 본격 추진한다”, (2016).3. “스마트센서 기반의 전력IoT 생태계 조성 및 사업화 방안에 관한 연구”, “한국전력공사 상생협력처”, (2015).